[HTML & CSS]/[HTML]
[HTML] HTML의 개요와 기본 문법
북방바다코끼리표범
2023. 7. 27. 22:55
모바일 기기에서 보여줄 비율을 조정하는 코드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HTML 개요
- HTML은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언어이며 매우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.
- 모든 태그는 미리 정의되어 있으며, 각각의 태그와 속성을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.
HTML이란?
-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.
- 웹 페이지는 HTML 문서라고도 불리며, HTML 태그들로 구성된다.
- 각각의 HTML 태그는 웹 페이지의 디자인이나 기능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.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HTML Intro</title>
</head>
<body>
<h1>여러분을 환영합니다!!</h1>
</body>
</html>
태그(Tag)
- HTML에서 태그는 꺾쇠(< 기호랑 > 기호)를 사용하는 문법입니다.
- 일반적으로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로 내용을 감싸는데, 시작 태그는 <태그 이름> 형태로 쓴다.
- 종료 태그는 </태그 이름> 형태로 쓴다.
예시 1: <p> 태그
<p>
단락은 이렇게 넣습니다.
</p>
예시2 : <img> 태그
<img src="https://aaaaaaa.com/my-image.png">
- 줄바꿈(<br>)이나 이미지(<img>)처럼 안에 내용이 없는 태그는 시작 태그만 사용.
- 참고로 마지막에 슬래시(/) 기호를 넣어서 하나짜리 태그라는 걸 표시하기도 한다.
- 위의 예시에서는 슬래시 없이 태그를 사용했는데, 아래의 예시에는 슬래시를 사용한다.
- 둘 다 올바른 HTML 문법이니까 참고로 알아 두면 좋다!
예시 3: <img> 태그를 슬래시와 함께 쓰는 경우
<img src="https://example.com/my-image.png" />
속성
- 시작 태그에 속성이름 = "속성 값" 형태로 사용하는 문법.
→ 태그의 속성을 정한다.
예시 1: <a> 태그의 href 속성
<a href="https://shins99.tistory.com/">shins99 티스토리</a>
예시 2: <img> 태그의 src 속성
<img src="https://https://shins99.tistory.com/my-image.png">
HTML 파일의 기본 구조
맨 윗줄에는 이 파일이 HTML 문법을 쓴다는 걸 알려주는 코드가 들어감.
<!DOCTYPE html>.
- 여기서 DOCTYPE 은 문서 타입(Document Type)이라는 뜻.
그 아래로는 크게 <html> 태그로 감싼 다음에, <head> 태그와 <body> 태그로 나눈다.
- 이때 <head> 태그 안에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가고, <body>에는 페이지 내용이 들어감.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배운 태그 정리
사이트 이름
- 웹 브라우저 탭이나 창에 보이는 제목을 정할 수 있다.
- 참고로 페이지 내용이 아니라, 페이지에 대한 정보이기 때문에 <head> 태그 안에 구분해서 넣어야 함.
<head>
<title>윤동주 서시 - 한국 시 모음</title>
...
</head>
인코딩 정하기
- 한글을 지원하는 인코딩인 UTF-8을 사용하도록 정하는 코드입니다.
- <meta> 태그를 사용해서 <head> 태그 안에 넣어 주면 됩니다.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...
</head>
제목(Heading)
- 제목(Heading)은 제일 큰 것부터 작은 것까지 <h1>, <h2>, ... <h6> 태그를 사용할 수 있음.
- 사이트 이름에 쓰는 <title> 태그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.
<h1>서시</h1>
<h2>시인 윤동주</h2>
단락(Paragraph)
- 단락(Paragraph)은 <p>태그로 감싸면 됨.
- 이때 코드에서 줄 바꿈은 화면에 나오지 않고 붙어서 보임.
<p>
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
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,
잎새에 이는 바람에도
나는 괴로워했다.
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
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
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
걸어가야겠다.
</p>
<p>
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.
</p>
줄 바꿈(Break Line)
- HTML은 기본적으로 문장들을 이어서 보여 준다. 줄 바꿈(Break Line)은 <br>이라는 태그 사용.
- 이때 줄 바꿈 태그 안에는 내용이 없으니까 시작 태그 하나만 <br>처럼 사용.
<p>
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<br>
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,<br>
잎새에 이는 바람에도<br>
나는 괴로워했다.<br>
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<br>
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<br>
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<br>
걸어가야겠다.
</p>
<p>
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.
</p>
링크
- 링크는 <a> 태그를 사용.
- href 속성으로 이동할 주소, 경로를 적어 주면 된다.
<a href="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84%9C%EC%8B%9C_(%EC%8B%9C)">
위키 문서 보기
</a>
이미지(image)
이미지(image)는 <img> 태그를 사용. src 속성으로 이미지 파일의 주소, 경로를 적어주면 된다.
예시 1: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사진
<img src="https://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4/4f/Yun_Dong-ju.jpg">
위에서 사용한 윤동주 이미지는 이미지는 Public domain 라이선스를 따릅니다.
예시 2: 같은 폴더에 있는 yun-dong-ju.jpg 파일 사용하기
<img src="yun-dong-ju.jpg">
예시 3: images 라는 폴더 안에 있는 파일 사용하기
<img src="images/yun-dong-ju.jpg">
영역 나누기
- <div> 태그로 여러 태그를 감싸거나, <span> 태그로 텍스트 일부만 감쌀 수 있다.
- 참고로 이렇게 영역을 나누는 건 나중에 CSS를 사용할 때 스타일을 적용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.
<div>
<h1>서시</h1>
<h2>시인 <span>윤동주</span></h2>
</div>
<div>
<p>
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<br>
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,<br>
잎새에 이는 바람에도<br>
나는 괴로워했다.<br>
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<br>
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<br>
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<br>
걸어가야겠다.
</p>
<p>
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.
</p>
</div>
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최신 표준 모드로 보여주는 코드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모바일 기기에서 보여줄 비율을 조정하는 코드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